전체 글23 2D 버추얼 모델(2024-02-27) 2D 버추얼 크리에이터는 2D 모델을 이용해서 방송하는 버추얼 크리에이터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로는 한국의 버추얼 전문 MCN인 스텔라이브 소속의 버튜버가 있으며, 해외 유명 버추얼 엔터테이먼트라고 할 수 있는 VShojo 출신의 버튜버가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쓰이는 2D 모델은 일러스트를 그린 뒤 파츠분리라는 과정을 겪으며, Live2D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리깅이라는 과정을 겪습니다. 이후 기동은 VTubeStudio, Animaze같은 .cmo3 파일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웹캠이나 아이폰을 이용해 얼굴, 손 등을 인식해 위치 등을 수치화 시킨 후 그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움직여 실제 자신의 움직임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작 과정.. 2024. 2. 20. VSeeFace(2024-03-04) VSeeFace는 확장자명이 vrm, vsfavatar인 파일을 버추얼 방송이 가능하게 기동시켜주는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무난히 활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어가 지원되며, 타 프로그램과 복수 이용시 최대 전신 트래킹까지 가능합니다. 무료 프로그램이며, 한국어 지원이 되면서 튜토리얼까지 존재하므로 상당히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링크: https://www.vseeface.icu/ VSeeFace About 日本語 VSeeFace is a free, highly configurable face and hand tracking VRM and VSFAvatar avatar puppeteering program for virtual youtubers with a focus on rob.. 2024. 2. 19. 3D 버추얼 모델(2024-02-20) 3D 버추얼 크리에이터는 3D 모델을 이용해서 방송하는 버추얼 크리에이터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로는 한국의 버추얼 전문 MCN인 Meechu 소속의 버튜버가 있으며, 해외 유명 버추얼 엔터테이먼트라고 할 수 있는 Hololive Production 출신의 버튜버 또한 3D 버추얼이 있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쓰이는 3D 버추얼 모델은 Blender, Unity 같은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이용하여 형태 구축, 채색, 리깅, 애니메이팅, 뚜따, 페이셜 등의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거나 VRoidStudio라는 스팀 무료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만듭니다. 이후 기동은 VSeeFace, Warudo같은 .vrm 파일이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웹캠이나 아이폰, 혹은 VR 및 트래커 등.. 2024. 2. 18. 버추얼 크리에이터란?(2024-02-17) 버추얼 유튜버/스트리머, 버추얼 라이버, 버튜버, VTuber(브이튜버, 해외에서는 주로 이 명칭을 사용) 등으로도 불리는 버추얼 크리에이터는 웹캠, 휴대폰 등의 화면을 인식하거나 VR 헤드셋, 트래커, 모션 캡쳐 장치 등의 위치를 인식해 컴퓨터로 보낼 수 있는 기기 등을 통해 가상의 몸체인 '모델'을 움직이며 해당 모델이 본인의 신체인 것으로 가정하고 방송을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캠이나 아이폰으로 얼굴 인식해서 몸 까딱하며 방송하거나 VR 끼고 3D 아바타 움직여가면서 방송하는 사람을 보통 버추얼 크리에이터라고 합니다. 비슷한 부류로는 VRChat 방송인이 있을 순 있으나 차이점이 있다면 VRChat 방송인의 경우, 현실의 모습을 보이거나 공개하는 경우도 많고 컨셉이 없는 경우가 과반수인.. 2024. 2. 17. 방송 송출 프로그램(2024-02-17) "방송 송출 프로그램"이란, 장면을 꾸며 송출할 화면을 구성하고 개인 방송 스트리밍 플랫폼에 개인이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이야기한다. OBSstudio, XSplit, Prism Studio, Streamlabs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본 글에서 소개하는 방송용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무료로이 가능하면서, 다양하게 활용할 여지가 있는 프로그램 위주로만 소개할 예정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추후 프로그램 별로 글을 추가적으로 작성하고 별도의 링크를 첨부할 예정입니다! 방송 송출 프로그램 별로 있을 수 있는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체 기능의 갯수 예를 들어본다면 OBS의 경우, 딱 기본기만 한다는 느낌인 반면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기능들도 제공합니다. 반면에 Prism Studio에.. 2024. 2. 17. 서드파티 및 후원 시스템(2024-02-16) 서드파티는 스트리머의 주 수익 수단인 후원(도네이션)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통 별도의 캐시를 구매한 뒤, 해당 캐시를 사용해서 간단하게는 문자(TTS), 영상부터 시작해 퀴즈, 미션, 룰렛 등의 형태로 방송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단순 서드파티 뿐만이 아니라, 방송 플랫폼 별로 각자가 가지고 있는 후원시스템의 장단점 또한 다룰 예정이다. 서드파티의 장단점으로는 다음이 있다. [장점] -개인 방송인으로써는 주 수입수단이 된다. 가장 접근하기도 쉬운 방법이다. -방송을 다채롭게 만들 수 있다. 영도 데이, 웃참 컨텐츠 등에 서드파티 기능을 활용하기도 한다. -시청자의 수가 많아져도 보다 직접적인 소통이 가능해진다. [단점] -관심을 끌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악용하는 시.. 2024. 2. 16. 방송 플랫폼(2024-03-23) 본 글에서 말하는 "방송 플랫폼"이란, OBS, XSplit, Prism Studio 등을 활용해 개인이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개인 방송 스트리밍 플랫폼이나 영상을 통해서 컨텐츠를 올릴 수 있는 비디오 플랫폼을 이야기한다. 방송 플랫폼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는 송출, 채팅 및 채팅 관리, 방송 설정 등이 있으며, 플랫폼에 따라선 송출된 방송을 이후에도 다시 볼 수 있게 영상을 남기는 "다시보기"기능이나 1분 이내의 영상으로 컨텐츠화 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숏폼 컨텐츠 업로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방송 플랫폼 별로 있을 수 있는 차이점은 크게 다음과 같다. 더보기 1. 수수료 수수료는 크리에이터에게 정말 중요한 것 중 하나다. 나중에 플랫폼 별 설명을 할 때도 이야기 하겠지만 유튜브는 수수료를.. 2023. 12.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