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 방송

치지직 나디아 채팅봇(2024-03-02)

by KR버추얼가이드 2024. 3. 2.

은가비님 활동 링크 : [ 치지직 ]   [ 유튜브 ]   [ 트위터 ]

 

 

최근 빵떡 봇이 개발비용 부담을 위해 유료화되면서 새로 떠오르고 있는 채팅봇 나디아 봇에 대한 글입니다.

https://buzzk.arite.studio/

 

나디아 봇 - 더 나은 치지직을 위한 풀 커스터마이징 챗봇

나디아는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을 위한 커스텀 명령어, 매크로, 카운터 기능들과 풀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갖춘 챗봇입니다. 안정적임, 직관적임을 추구하고있습니다.

buzzk.arite.studio

위 링크로 올라가면 간단하게 채널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https://game.naver.com/lounge/chzzk/board/detail/3607137

 

🔥치지직 챗봇, 명령어 봇 배포합니다! - 나디아 (구. 뿌지직, 웹 대쉬보드 지원) : 치지직

챗봇 나디아 입니다!

game.naver.com

나디아 봇에서 올린 관련 게시글 입니다.

 

 

나디아봇은 무료라는 것과 정말 쉽다는 것이 최고의 장점입니다. 기존에 트위치에서 쓰던 싹둑, 빵떡의 경우 명령어를 추가, 입력, 삭제를 위한 명령어를 외워야하는 반면에 나디아 봇은 여기서 전부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빵떡에 비해서는 아직 기능이 별로 없다는 것이 단점이긴 합니다.

하지만 방송봇으로써 쓰기에는 충분한 기능이 있으며, 앞으로도 여러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나디아 봇은 밍_님, 한우르님 두분이 함께하시는 2인 개발 스튜디오인 studio. Arite에서 개발 및 운영하는 채팅봇입니다!

우선 좋은 채팅봇을 만들어준 studio.Arite에 먼저 감사드리고 싶네요~

https://arite.studio/

 

studio. Arite - 누구나 편하게 소통할 수 있는 디스코드 봇을 개발합니다

유피, 엘리스 봇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고 비빔면을 따뜻하게 먹이는 방법을 연구 중인 2인 개발 스튜디오에요.

arite.studio

 

 

 

나디아 봇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및 봇 등록 절차로는 이메일 인증, 채널 설정에 준비된 인증코드를 넣고 채널 설명을 수정한 뒤 채널 인증을 진행해 주시면 나디아 봇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봇을 들이기 위해서 나디아 봇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오른쪽 위의 대시보드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누르면 로그인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회원가입을 누르면 바로 회원가입이 가능한 창이 나옵니다.

 

맨 위에서부터 이메일, 치지직 채널명을 입력한 후 오른쪽에 있는 돋보기를 누르면 채널이 나옵니다.

이 때 자신의 채널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그러면 이메일 인증을 진행하게 됩니다! 인증 코드는 바로 오기 때문에 걱정 말아주세요!

이메일 인증 화면을 못 찍었는데, 그 이유는 인증코드 집어넣자마자 빠르게 넘어간다는 사실을 깜빡하고 못 찍었습니다.

그렇게해서 넘어간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서 채널 인증을 진행합니다.

위에서 하는 설명처럼 이동하기 위에 있는 코드를 복사해서 채널소개란에 붙여넣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 이동하기를 누르면 바로 채널관리 페이지로 넘어가기 때문에 혹시나 위에 이미지가 어디로 가야하는지 모르겠다고 하시더라도 상관 없습니다!

 

이동하기를 누른 후에는 코드가 사라지고 바로 버튼에 적힌 글도 인증하기로 바뀌므로, 반드시 코드를 복사한 후 이동해주세요.

인증이 끝나면 코드는 지워도 무관합니다!

 

물론,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 글을 쓰는게 상당히 우스울 정도로 회원가입 과정에서 설명이 잘 되어있습니다.

 

 

 

우선 나디아 봇으로 들어오면 이렇게 방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널 명, 방송 여부, 봇 입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 화면은 이후 홈이나 우측 상단의 대시보드를 누르면 이동할 수 있습니다.

 

 

 

1. 명령어

명령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명령어가 비활성화되어있으며, 해당 상태에선 아무리 채팅을 쳐도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더해서 봇이 입장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채팅에 입장할 수 없기 대문에 반드시 봇을 먼저 입장시켜주세요!

 

명령어 추가 방법은 간단합니다.

 

추가하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채팅을 보면]의 앞 쪽에 있는 빈 칸에는 인식할 채팅을 적고

[라고 말하기]의 앞 쪽에 있는 빈 칸에는 출력할 채팅을 적습니다.

 

여기서 사용할 함수는 오른쪽에 나와있으며, 함수를 보고 명령어를 입력하기 편하도록 오른쪽 함수를 클릭 시 사용법과 예씨가 나옵니다.

함수 관련 상세 내역은 아래 글을 펴 읽어주세요!

더보기

함수를 누르면 이런식으로 함수의 정의와 예시, 예시로 인한 출력 결과를 보여줍니다. 더해서 유의해야할 점이 있는 함수는 유의사항 또한 알려줍니다.

 

/user : 인식한 채팅을 친 시청자의 닉네임

/channel : 현재 봇이 들어와있는 채널의 스트리머 닉네임(쉽게 말해서 채널명)

/uptime : 방송 시작하고나서 현재까지 몇시간인지. 형식은 ~일 ~시간 ~분 ~초.

/title : 방송 제목 그래도 채팅으로 쳐 주는 함수입니다. 절대 방송 제목을 바꿔주는 게 아닙니다.

/category : 현재 설정된 카테고리를 채팅으로 쳐 주는 함수입니다. 절대 카테고리를 바꿔주는게 아닙니다.

/viewer : 현재 시청자 수가 몇 명인지 알 수 있습니다.

/follower : 현재 내 팔로워 수를 알려줍니다.

/random : 해당 함수를 중간에 끼운 문장 중 하나를 랜덤으로 가져옵니다. 반드시 해당 함수를 쓸 때는 문장과 같은 줄에 있으면 안되며, 윗줄과 아랫줄 사이에 있어야합니다.

/since : 채팅을 친 시청자가 스트리머를 팔로우한 기간을 가져옵니다. 스트리머가 입력시, 0일로 뜹니다. 형식은 ~일 ~시간 ~분 ~초.

/help : 스트리머가 생성한 명령어를 볼 수 있는 리스트가 적힌 사이트의 링크를 올려줍니다.

/dday : 특정 일자로부터 얼마나 지났는지, 혹은 얾나 남았는지를 가져옵니다. 함수 입력 시 /dday-0000-00-00 식으로 입력해야합니다. 자릿수 지켜야합니다.

 

명령어 수정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대답 미리보기에서 실제 채팅에선 어떻게 나올지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더해서 명령어 페이지 오른쪽에 준비되어있는 채팅을 통해, 정상 작동하는지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명령어 위에 가져다된다면 전원 버튼, 펜 버튼, X 버튼 세가지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전원 버튼을 누르면 현재 저 !업타임 명령어 처럼 색이 바래지며 특정 명령어만 비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펜 버튼을 누르면 해당 명령어에 대한 수정이 가능합니다.

X 버튼은 명령어 삭제 버튼입니다.

 

 

2. 매크로

방송이 켜지고 정해진 시간마다 채팅을 올리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명령어와 비슷합니다.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함수 중에서 /user, /since가 여기선 나오지 않습니다.(굳이 쓸모가 없기 때문도 있을 듯합니다.)

시간 설정은 분 단위로 가능합니다.

 

 

3. 카운터

이름 그대로 카운터입니다. 거의 비슷하지만 명령어 설정과정이나 관련 함수에서의 차이가 크게 있습니다.

 

매크로 같은 경우 시청자마다 1일 1회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더해서 함수 중에는 명령어, 매크로에서도 쓸 수 있는 함수가 /user를 제외하고는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unt는 해당 시청자가 지금까지 해당 채팅을 입력한 횟수를 알려줍니다.

/countall은 전체 시청자가 지금까지 해당 채팅을 입력한 횟수를 알려줍니다.

/else는 명령어 여러개를 중복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4. 투표

현재 오픈되지 않은 기능입니다. 3월 초에 추가되면 이용 후 게시글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5.도움말

말 그대로 도움말입니다. 여기서 나디아봇의 UID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6. 계정

내 채널명, 등록된 이메일(해당 이미지에선 삭제했습니다만, 본래 이메일이 보입니다.), 로그아웃 버튼이 있습니다.

더해서 채팅 상담 및 문의가 가능한 카카오톡 및 디스코드 링크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문의가 가능한 이메일도 있습니다.

서버 들어가면 질문에 대해 빠르든 늦든 친절하게 대답해주시는 듯 합니다!

 

더해서 해당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에서도 오른쪽 위의 프로필 사진을 눌러서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 방지 코드 적용